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체코, 구제역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국경 통제 및 예방 조치 강화
체코 이혜빈 EC21R&C 연구원 2025/04/04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중동부유럽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체코, 슬로바키아·헝가리 내 구제역 발생에 따른 긴급 대응 조치 시행
o 국경 인접 지역으로 구제역 확산
- 지난 3월 21일 체코는 구제역이 국내로 유입될 가능성에 대비해 경계 수준을 최고 단계로 격상함. 인접국 슬로바키아에서는 헝가리 국경 인접 지역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네 번째 농장까지 확산되었으며, 체코 국경에서 약 40km 떨어진 지역에서도 신규 발생이 확인됨. 특히, 체코 인근 국가에서 다수의 가축 감염 사례가 보고되면서 체코 방역 당국은 추가 확산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 마렉 비보르니(Marek Výborný) 체코 농업부장관은 현 상황의 심각성을 강조하며, 국경 인접 지역을 중심으로 모든 가능한 예방 조치를 시행할 것을 촉구함. 토마시 마예르(Tomáš Majer) 체코 농업대학 교수는 구제역이 농업 분야에서 가장 전염성이 강한 질병 중 하나로 공기를 통해 수십 킬로미터까지 전파될 수 있으며, 체코로 확산될 경우 산업적 피해가 막대할 것이라고 경고함.
o 슬로바키아·헝가리·오스트리아로부터의 가축 수입 금지 조치 실시
- 지난 3월 14이 체코 정부는 구제역 발생이 확인된 슬로바키아와 헝가리로부터의 가축 및 동물성 제품 수입을 전면 금지함. 이후 위험 지역이 오스트리아 일부 지역(니더외스터라이히, 부르겐란트)까지 확대됨에 따라 추가적인 수입 금지 조치를 시행함. 특히 소, 돼지, 양, 염소 등을 수입 금지 품목으로 지정하였으며, 사료 및 건초, 짚 등에 대한 수입 금지 조치도 함께 시행됨.
- 비보르니 농업부장관은 국경 인접 지역 주민들에게 부활절 기간을 맞아 슬로바키아에서 양고기나 어린 염소를 구입하는 관행을 자제할 것을 당부함. 또한, 체코 당국은 국민들에게 농장 주변에 접근하거나 목초지에 들어가는 것을 자제하고, 구제역이 발생한 슬로바키아 지역으로의 여행을 삼갈 것을 권고함.
□ 체코, 구제역 유입 차단을 위한 예방 조치 실시
o 슬로바키아·오스트리아 국경 통제 강화 및 가축 운송 차량 소독 의무화
- 체코 정부는 슬로바키아 및 오스트리아와의 국경에서 화물 차량에 대한 검문을 강화하고, 동물 및 동물성 제품을 운송하는 차량은 지정된 7개 국경 검문소를 통해서만 출입할 수 있도록 제한함. 해당 검문소에는 수의학 전문가들이 24시간 상주하며, 가축 운송 차량에 대한 검사와 소독 작업이 진행하고 있음. 특히, 슬로바키아와 헝가리에서 오는 동물 운송 차량은 바퀴와 차량 하부를 의무적으로 소독해야 하며, 하테(Hatě)와 미쿨로프(Mikulov) 국경 검문소에는 소독 매트가 설치되어 있다고 알려짐.
- 한편, 3월 28일부터는 체코-슬로바키아 국경 간 통행이 4개 검문소로 제한되었으며, 모든 트럭은 의무적으로 소독 매트를 통과하는 것으로 지침이 강화됨. 비보르니 농업부장관은 슬로바키아 서부 말라츠키(Malacky) 인근에서 신규 구제역 의심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D2 고속도로의 브르제츨라프-브로드스케(Břeclav-Brodské) 국경 검문소에서의 검사 체제를 강화했다고 발표함.
o 체코 국내 예방 조치 확대
- 체코 당국은 3월 26일부터 남부 모라비아(Moravia) 지역의 100마리 이상 젖소를 보유한 농장과 브르제츨라프(Břeclav) 및 호도닌(Hodonín) 지역의 모든 농장을 대상으로 우유에 대한 예방적 PCR 검사를 실시하고 있음. 이는 우유가 구제역 감염 초기에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는 가장 빠른 매개체로, 증상이 나타나기 3-5일 전에 바이러스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으로 알려짐.
- 체코 연방수의청(SVS)은 양, 염소, 소, 돼지 농장에 대한 외부인의 방문을 제한하였으며, 특히 발굽을 깎거나 양모를 깎는 작업자의 농장 방문을 전면 금지함. 전문가들은 소의 경우 최소 잠복기가 2-4일로,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다른 동물에게 질병을 전파할 수 있다고 경고함. 또한, 모라비아 지역 동물원도 동물 보호를 위해 관람객 출입을 중단하였으며, 야생 동물에 대한 무작위 검사도 실시할 예정이라고 덧붙임.
□ 체코, 위기 상황 대응을 위한 군 인력 투입 및 EU 차원의 협력 요청
o 구제역 위기 대응을 위한 군인력 투입 결정
- 야나 체르노호바(Jana Cernochova) 체코 국방부장관은 구제역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군 수의학 전문 인력을 국경 검문에 투입할 것이라고 발표함. 비보르니 농업부장관은 연방수의청(SVS)의 인력이 제한적이고 위기 상황에 대응할 인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설명하며, 약 20명의 군 수의학 전문가들이 국경 검문에 투입될 예정이라고 밝힘.
- 한편, 지난 3월 27일 체코 정부는 군 수의학 전문가들이 국경 검문을 수행할 수 있도록 승인하는 결의안을 채택함. 다비드 시마(David Sima) 체코 국방부 대변인은 자국 내 약 30명의 수의학 분야 전문가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약 20명의 군 출신 전문가(수의사뿐만 아니라 수의학 기술자 및 기타 전문가 포함)를 투입할 수 있다고 전함.
o 비세그라드 그룹(V4) 및 EU 차원의 구제역 대응 협력 요청
- 비보르니 농업부장관은 체코·슬로바키아·폴란드·헝가리로 구성된 비세그라드 그룹(V4)과 오스트리아, 독일 등 주변국들과 협력하여 유럽연합(EU) 차원의 공동 대응을 촉구함. 그는 ”질병의 추가 확산을 방지하고, 각 회원국의 가축을 보호하기 위해 EU 차원의 조율된 대응이 절실하다“고 강조함.
- 아울러, 비보르니 장관은 유럽에서 구제역이 마지막으로 발견됐을 당시(2001년) 막대한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음을 상기시키며, 신속한 조치의 중요성을 강조함. 아울러, 그는 “상기 조치들을 신속하게 실행해야 하며, 수일 후에 실행한다면 조치의 실효성이 낮을 것”이라고 덧붙임.
<감수 : 김철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참고자료
Radio Prague International, Czech farmers scramble to secure their livestock as foot-and-mouth comes closer, 2025.03.26.
Hungary Today, Czech Import Ban from Foot-and-Mouth Disease-Hit Regions, 2025.04.01.
Radio Prague International, Authorities calling for heightened responsibility as fears of foot-and-mouth mount, 2025.04.01.
Khmer Times, Central Europe urges EU to coordinate tackling foot-and-mouth disease, 2025.04.04.
Brno Daily, Army To Assist At Czech Border In Response To Spread of Foot-and-Mouth Disease, 2025.04.02.
TVP World, Czech Republic bans livestock imports from Slovakia after new foot-and-mouth outbreak, 2025.03.21.
Polskie Radio, Poland intensifies measures to prevent foot-and-mouth disease spread, 2025.03.29.
Polskie Radio, Poland free of foot-and-mouth disease, but threat level is higher than ever, says minister, 2025.03.30.
Radio Prague International, Czech animal import ban extended to Lower Austria and Burgenland, 2025.03.27.
Radio Prague International, Czechia tightens border measures due to foot-and-mouth disease concern, 2025.03.30.
iDNES.cz, Kvůli slintavce zakázalo Česko dovoz hospodářských zvířat z Maďarska i Slovenska, 2025.03.26.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이슈트렌드] 에스토니아, 러시아·벨라루스 국적자 지방선거 투표권 박탈... 러시아계 주민 갈등 심화 | 2025-04-04 |
---|---|---|
다음글 | [이슈트렌드] EU-튀르키예, 6년 만에 고위급 경제대화 재개... 경제협력 강화 합의 도출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