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튀르키예, 시리아 내전 종료 이후 포괄적 경제 협력 및 재건 지원 강화...카타르와의 3자 협력 가능성 주목
튀르키예 이혜빈 EC21R&C 연구원 2025/04/25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중동부유럽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튀르키예-시리아 고위급 교류 확대 및 양국 관계 정상화 추진
o 튀르키예 통상부장관, 시리아 방문
- 외메르 볼랏(Omer Bolat) 튀르키예 통상부장관은 2025년 4월 17~18일 시리아를 방문함. 이번 방문은 약 14년 만에 이루어진 튀르키예 고위급 경제 관료의 시리아 방문으로, 볼랏 장관은 이번 방문을 통해 양국 관계가 다차원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역사적 기회(historic opportunity)’를 맞이했다고 평가함. 볼랏 장관은 튀르키예 비즈니스 리더들과 상공회의소 및 무역협회 대표들로 구성된 대규모 경제사절단을 동반하였으며, 니달 알-샤아르(Nidal al-Shaar) 시리아 경제산업부장관, 야룹 바드르(Yarub Badr) 운송부장관, 모하마드 야사르 베르니아(Mohammad Yasar Bernia) 재무부장관 등 현지 고위 인사들과 면담을 진행함.
- 볼랏 장관은 이번 방문을 통해 양국 간 무역 문제, 신규 협력 분야, 시리아 재건에 대한 튀르키예의 잠재적 기여 방안, 국경 통과 및 관세 절차 간소화 등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관찰됨. 특히, 볼랏 장관은 "튀르키예는 시리아 국민의 자유를 지속적으로 지지해왔다"고 강조하며, 최근 설립된 시리아 과도정부가 전쟁으로 피폐해진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평가함.
o 시리아 과도정부 대통령의 2월 튀르키예 방문 성과
- 한편, 이번 튀르키예 통상부장관의 시리아 방문에 앞서, 아메드 알-샤라(Ahmed al-Sharaa) 시리아 과도정부 대통령 역시 2025년 2월 4일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Recep Tayyip Erdoğan) 튀르키예 대통령의 초청으로 튀르키예를 방문한 바 있음. 이는 2009년 이후 튀르키예와 시리아 간 최고위급 회담으로, 알-샤라 대통령의 취임 이후 사우디아라비아 방문에 이은 두 번째 해외 순방임. 동 회담에서는 시리아 재건, 경제협력, 시리아 난민 귀환 등의 핵심 의제가 논의되었으며, 양국 지도자는 쿠르드 노동자당(PKK)과 이슬람국가(IS) 등 테러 단체에 대한 공동 대응 및 시리아 내 신규 군대 훈련 방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함.
- 하칸 피단(Hakan Fidan) 튀르키예 외교부장관은 알-샤라 대통령의 방문 이후 튀르키예, 이라크, 시리아, 요르단으로 구성된 4개국 반(反)IS 연합 설립 계획을 발표함. 또한, 시리아 군 재구성에 관한 논의도 이루어졌는데, 튀르키예 국방부는 ①국가 기관의 기능 회복, ②시리아의 방위 과제 해결, ③전쟁 후 피해 복구 지원 등 3단계 접근법을 통해 시리아의 군사력 재구성 계획을 지원할 의지를 밝힘.
□ 포괄적 경제 파트너십 및 재건 지원 강화 방안 논의
o 양국 간 포괄적 경제 파트너십 및 무역 증진 방안 논의
- 볼랏 장관은 이번 방문에서 시리아와 포괄적 경제 파트너십(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을 체결하기 위한 계획을 발표하였으며, 동 파트너십에는 점진적 관세 인하, 공동 투자 장려, 전쟁 피해 산업 지역 재건 등의 사안이 포함됨. 특히, 양국은 2011년 내전 발발로 중단된 자유무역협정 재개를 위한 논의를 시작하기로 합의하였으며, 투자 촉진 및 보호 협정, 이중과세 방지 협정에 대한 재협상을 추진하기로 약속함. 이러한 상황 속, 양측은 투자, 은행 협력, 교통 연계, 관세 등의 분야에서 신속한 진전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함.
- 튀르키예는 2024년 12월 시리아 정권 교체 이후, 재건 과정에 필요한 기계·시멘트·유리·세라믹·금속 등의 부문을 중심으로 對시리아 수출을 급격히 확대하고 있음. 튀르키예의 對시리아 수출액은 지난 2024년 기준 22억 달러(약 3조 원)이며, 수입액은 4억 3,700만 달러(약 5,900억 원)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됨. 이브라힘 푸아트 오즈코렉치(Ibrahim Fuat Ozcorekci) 튀르키예-시리아 비즈니스 협의회장은 튀르키예가 중기적으로 시리아와의 무역액을 100억 달러(약 13조 5,000억 원)까지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함.
o 튀르키예, 시리아 재건 및 인프라 개발 지원 확대 의사 표명
- 볼랏 장관은 시리아 재건을 위한 튀르키예의 전폭적인 지원 의사를 표명하며, 헤자즈 철도(Hejaz railway) 보수, 다마스쿠스(Damascus)와 알레포(Aleppo) 내 지하철 시스템 개발, 육로 및 해상 운송 연결 강화 등의 방안을 제안함. 이러한 이니셔티브는 튀르키예-시리아 간 무역 경로 재개 등을 통해 궁극적으로 시리아의 경제 회복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포괄적 재건 계획의 일환임.
- 이러한 재건 지원 프로젝트는 시리아의 안정적인 발전과 더불어 튀르키예의 국익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이와 관련, 볼랏 장관은 "지난 14년간의 내전의 부정적 영향은 우리 모두에게 영향을 미쳤으나, 시리아의 안정은 튀르키예의 안보 강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언급하며, 양국 관계 개선이 상호 이익을 촉진할 것임을 강조함. 일부 전문가들 역시 시리아의 안정이 튀르키예의 안보 강화, 테러 대응, 이주 문제 해결, 걸프 및 중동 지역으로의 접근성 향상, 상호 무역 증대 등을 촉진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으며, 다수 튀르키예 기업들도 시리아의 재건을 중요한 경제적 기회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
□ 튀르키예-카타르 간 견고한 동맹 관계 및 시리아와의 3자 협력 가능성
o 아랍의 봄 이후 형성된 튀르키예-카타르 간 전략적 동맹 관계
- 튀르키예와 카타르 간의 강력한 외교 관계는 ‘아랍의 봄(Arab Spring)’ 기간(2010~2011) 동안 형성되었는데, 양국은 기존 권위주의 정권에 대한 정치적 변화와 특히 ‘무슬림 형제단(Muslim Brotherhood)*’의 부상을 지지하는 데 있어 공통의 입장을 취함. 양국은 아랍의 봄 시기 튀니지, 이집트, 리비아, 시리아 등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공동의 목표는 양국 간의 이념적 연대를 더욱 강화한 것으로 분석됨.
- 2017년, 사우디아라비아와 걸프협력이사회(GCC) 동맹국들은 카타르가 무슬림 형제단을 지원하고 이란과 관계를 유지한다는 혐의로 카타르에 강력한 제재를 부과하였으며, 이로 인해 역내 갈등이 고조됨. 그러나 튀르키예는 동 기간 카타르에 중요한 경제적, 군사적 지원을 제공하였으며, 이를 통해 양국 간 동맹을 더욱 강화함. 이러한 튀르키예-카타르 동맹은 지역 내 정치적 긴장 고조에 대한 ‘전략적 균형추(strategic counterbalance)’로 부상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이집트와 시리아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이슬람 근본주의 정치 조직
o 시리아 재건을 위한 공동 이니셔티브 추진 가능성
- 셰이크 모하메드 빈 압둘라흐만 빈 자심 알타니(Sheikh Mohammed bin Abdulrahman bin Jassim Al Thani) 카타르 총리 겸 외교부장관은 카타르-시리아 간의 파트너십이 시리아 국민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해야 함을 강조하였으며, 지속 가능한 공공 서비스 제공을 포함하여 시리아에 대한 국제 제재 해제를 촉구함. 아울러, 피단 장관 역시 하산 알-샤이바니(Asaad Hassan al-Shaibani) 시리아 외교부장관과의 회담에서 튀르키예가 시리아의 안정 촉진, 국제 협력 강화, 난민의 고국 귀환 등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강조함.
- 일부 전문가들은 튀르키예와 카타르가 이러한 견고한 협력을 기반으로 시리아의 정치적 안정과 경제 발전을 위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함. 실제, 양국은 시리아 위기 전반에 걸쳐 반정부 세력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온 것으로 확인되며, 향후 시리아-튀르키예-카타르 간 3자 협력을 통한 시리아의 성공적인 재건 여부에 대한 귀추가 주목됨.
<감수 : 김철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참고자료
Daily Sabah, Turkiye eyes 'rapid' progress in economic ties after broad Syria talks, 2025.04.18.
Daily Sabah, Turkiye says 'historic' chance to develop multidimensional ties with Syria, 2025.04.16.
Informed Comment, In the Race for Influence in the New Syria, will Turkiye come out on Top?, 2025.02.12.
Middle East Monitor, Turkiye firms pursue ambitious plans in rebuilding of Syria's economy, 2025.02.04.
Middle East Political and Economic Institute, Strategic Partnerships in Action: The Political Economy of Turkey-Qatar Alliance in Syria’s Reconstruction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이슈트렌드] 리투아니아, 중국과의 경제 관계 제한적이라 밝혀...수출 시장 다변화 추진 | 2025-04-25 |
---|---|---|
다음글 | 다음글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